EDU2002 |
교육철학 |
Philosophy of Education |
교육철학의 학문적 성격과 방법 및 교육철학의 여러 입장과 이에 따라 교육이론이 각각 어떻게 달라지게 되는가 하는 것을 탐구함으로써 교육의 제반문제를 철학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능력을 신장하도록 한다. |
This course investigates the scientific characteristics. methods and various positions of philosophy of education as well as how the theory of education can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m. As a result, this course helps students improve the ability to philosophically think various problems of education. |
EDU2005 |
한국교육사 |
History of Korean Education |
한국의 지나간 교육의 여러 문제들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정치, 경제, 사회, 종교등 여러 사회현상과의 관련 속에서 세계교육사와 견주어 가면서 탐구함으로써 한국교육사의 일반성과 특수성을 파악해 간다. |
This examines the past problems of Korean education by comparing with History of World Education in relations to various social situations such as politic, economic, society, religion and so 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generality and particularity in history of Kroean education. |
EDU2010 |
교육사회학 |
Educational Sociology |
교육사회학의 기본 개념과 방법을 익히고, 기존 이론들을 비교 검토한 후 교육의 사회화과정, 교육과 사회계층, 교육과 문화 등 교육과 사회와의 상호영향관계를 거시적, 미시적 차원에서 분석한다. |
After learning the basic concept and method of educational sociology, this course compares and examines the existing theories. This course analyzes socialization of education and the interactions between education and society such as education and social stratum and education and culture in the microscopic and macroscopic dimensions. |
EDU2012 |
사고와표현 |
Thinking and Writing |
다양한 글 자료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그것을 자신의 말로 효과적으로 재구성하며 주어진 논제에 대하여 자신의 논지를 설득력 있게 전개하고, 나아가 창의적으로 새로운 논제를 제시하는 연습을 한다. |
This course understands various writings exactly, restructures to own words, develops own points of an argument about given subjects, and it practices how to presents a new subject creatively. |
EDU2013 |
교육학개론 |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Education |
교육학의 학문적 성격과 연구방법, 영역, 구조, 인간에 대한 이상적 관점과 교육과의 관계, 인간의 현실에 대한 종교적․철학적․심리학적․사회학적 관점과 교육과의 관계, 교육의 기능, 요소, 장, 형태, 교육의 가능성과 한계, 교사의 자질과 임무, 교직관의 유형과 윤리, 한국교육학의 과제와 전망 등 교육학을 전공하기 위한 길잡이로서 교육학의 기본적 개념들과 전반적 윤곽을 이해하기 위한 탐구이다. |
This course is a guide to study in education such as scientific characteristics of study of education, research method, range, structure, relations between ideal viewpoint about human being and education, relations among religious, philosophic, psychologic and social viewpoints and education, function of education, elements, advantages, forms, possibility and limits of education, quality and duty of instructors, type and ethnic off teaching profession view, subject and prospect of study of Korean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understand the basic concepts and general outlines of education study. |
EDU2014 |
교육과정 |
Curriculum Theory |
교육과정 이론과 실천에 관련된 핵심주제와 교육과정 연구 방법을 탐구한다. 이를 토대로 실제 교육현장에서 교육과정을 비판적 시각에서 접근할 수 있고 대안적 차원에서 교육과정을 체계적으로 구안하고 전개할 수 있는 실천적 능력을 배양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This course investigates the core object related to curriculum theory and practice as well as the research method of curriculum. Based on these, students are able to approach the curriculum in actual educational field from the critical perspective as well as to foster the practical ability to systematically design and develop the curriculum on alternative dimension. |
EDU2015 |
교육심리 |
Educational Psychology |
심리학의 여러 이론들(예. 발달심리, 학습심리, 지각심리, 인지심리, 성격심리, 상담 및 심리치료 이론)이 교육장면에서 학습자와 학습과정의 현상을 이해하는데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살펴보고 그 원리를 이해함으로써 미래의 교육자로서 학습자를 잘 이해하고 학습자의 성장을 촉진하는 토대를 다지도록 한다. |
In order to understand various problems occurred in educational setting, this course learns the intellectual,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of individual, principle of learning, characteristic and individual variation, and understands how these factors interact each other centering on learning. Furthermore, it helps to connect the knowledge of educational psychology with practice. |
EDU2016 |
교육행정 |
Educational Administration |
교육행정의 기본이론과 주요 내용을 학습하면서 교육행정이론발달을 역사적 맥락에서 분석한다. 또한 교육행정의 제 측면(조직관리, 계획, 장학, 재정, 인사, 시설 등)에 관한 이론과 실제를 분석한다. |
This course analyzes concept, characteristic, essence, function, field and content in order to understand the fundamental theory and normative knowledge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is course also analyzes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the historical context. In addition, the theory and reality about various aspects (management of organization, plan, encouragement of learning, finance, personnel , facility and etc.). Furthermore, this course aims at examining various theories of philosophic, political, social, economic and systematic approach as well as the scientific character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
EDU2017 |
평생교육론 |
Introduction to Lifelong Education |
평생교육의 개념, 역사적 발달과정, 주요 이론을 탐색하고, 우리나라 평생교육체제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법과 제도를 고찰함으로써 평생교육 각론의 학습을 위한 기초적 지식을 습득한다. 아울러 평생교육의 관점에서 가정교육, 학교교육, 사회교육을 통합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안목을 갖춤으로써 평생교육 교육자로서 갖추어야 할 능력을 기른다. |
This course seeks for the concept of lifelong education, its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es, and the core theory, and then through studying laws. |
EDU4003 |
교육공학 |
Educational Technology |
교수-학습과정에서의 모든 구체적인 문제를 연구하여 가장 효과적인 교수법, 학습방법을 연구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교수설계, 교수-학습의 조직, 교수-학습매체에 대하여 논하고 아울러 교사교육, 평생교육의 측면에서도 그 활용방안을 모색한다. |
This course researches the all concrete problems in teaching-learning process in order to find the most effective teaching method and learning method. In the concrete, this course discusses teaching plan, formation of teaching-learning and teaching-learning media and investigates the practical methods from the aspect of lifelong education. |
EDU4012 |
상담심리학 |
Counseling Psychology |
상담심리학에 대한 전반적인 틀을 세우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담과 상담자, 상담 과정에 대한 이해, 주요 상담 이론 및 심리치료기법, 상담과정의 기본이 되는 상담 기법과 의사전달기술의 훈련을 통해서 상담전문가로서 기본 자질을 기른다. |
Introduction to counseling psychology. This course aims at building a basic knowledge framework of the field of counseling psychology. Students will learn fundamentals of counseling psychology, including agents of counseling (e.g., counselor, client, therapeutic relationship), counseling process, major theories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and therapeutic interventions. Focuses are also given to basic interviewing and communication skills. |
EDU4015 |
서양교육사 |
History of Western Education |
서양교육의 역사를 문화사회적 배경, 교육제도 학교교육을 포함하는 교육의 실천사적 측면과 각 시대마다 나타난 교육사상의 측면을 중심으로 탐구한다. |
This course examines the history of Western education centering on the practical aspects of education, including socio-cultural background, education system and school education, as well as on the aspect of the educational thoughts shown in each period. |
EDU4017 |
영성교육론 |
Holy Education |
영성교육론은 환원주의, 분석주의, 물질주의, 과학주의로 표방되고 있는 기존의 근대 교육의 패러다임에 내재된 한계점을 극복하고, 교육의 핵심적 본질로서의 초월적 영성을 추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영성교육론에서는 기존의 종교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고, 현대사회의 공동적 신앙으로서 초월적 종교성에 귀의하고, 이를 교육의 이론과 실천의 핵심으로 삼아 교육론을 전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overcome the uppermost limits immanent in the existing paradigm of modern education, which claim to stand for reductionism, Analyzationism, materialism and scientism, and to pursue the transcendental spirituality as the core essence of education. Also, this course intents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existing religious education, to devote to transcendental religiosity as the common religious belief in the modern society, and to develop the educational theory by making this as the core of theory and practice of education. |
EDU4018 |
원격교육론 |
Distance Education |
정보화 및 세계화의 방향으로 전환되는 시점에서 시간과 공간은 제한을 극복할 수 있는 원격교육은 평생교육의 주요양상임을 이해한다. 다양한 형태의 원격교육 유형은 각각 어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요구하며, 교육의 효과 증진 및 교육적 상호관계 증진을 위한 방안이 무엇인지를 검토하고 숙고하는 기회를 가진다. |
This course understands that distance education, which can 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ime and space, is the major aspect of lifelong education at the point of time as converting into informatization and globalization. Each type of various Distance Education forms demands the certain hardware and software, and they have opportunities to examine and consider the methods to improve the effects of education and educational interaction. |
EDU4020 |
특수교육론 |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
특수교육의 개념 및 일반교육과의 관계를 이해하고, 특수아동의 정의 및 장애영역에 따른 특성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함양한다. 또한 이를 통해 학교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교수방법 및 교육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살펴본다. |
For special a child, who is different from normal child physically and mentally, it understands significance , classification and measurement about them, and their mental, changeful characteristics. And, to realize their potential energy maximumly, it lectures special education and related educational service. |
EDU4024 |
기업교육론 |
Corporate Education |
본 강좌는 기업조직에서의 학습활동에 초점을 맞추어 이에 대한 주요 이론 및 연구경향 등을 탐구하고 기업의 인적자원교육을 위한 요구분석, 학습개발 및 평가에 이르는 제반 교육프로세스를 연구한다. 리더십개발과 조직변화를 위한 기업내 학습의 역할에 강조점이 있으며, 이를 성공적으로 구체화시킨 기업들의 사례를 분석한다. |
The course includes an analysis of the major theories and recent research of human resource education with emphasis on the assessment, design, delivery, and evaluation of workplace learning. The role of learning in organizational change and leadership development is a major focus. |
EDU4026 |
인적자원개발론 |
Human Resource Development |
인적자원의 개념과 의미에 대한 이해, 그리고 인적자원개발의 패러다임, 개인개발, 경력개발, 조직개발 등을 다룬다. 현재 인적자원개발의 최근 동향 및 주요이슈 등을 살피고 공공조직뿐만 아니라 기업에서의 조직향상을 위한 교육적 전문성의 활용 범위와 역할에 대해 탐구한다. |
Human resources become a critical asset for both profit and non-profit organizations to survive in this turbulent market situation. Talent, even though it is a scarce resource, is potentially the most powerful source of competitive advantage. Main concerns for organizations are how it is available and how organizations are designed to make it their key source of competitive advantage. The field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addresses a variety of issues in relation to training and development, career development, and organization development. In this course, students will have opportunities to discuss about how to develop employees with talent and how to make organizations high performance system. |
EDU4028 |
통합교육론 |
Introduction to Inclusive Education |
통합교육의 개념 및 배경에 대해 이해하고, 장애학생의 사회적 통합 및 교수적 수정을 통한 일반교육과정에의 접근에 대해 살펴본다. 또한 다양한 학습자를 위한 교수 방법 및 전략에 대해 탐색함으로써 모든 학습자를 위한 교사로서 기본적인 자질을 기른다. |
This course provides fundamental knowledge on inclusion including social integration as well as instructional adaptation. In addition, the course deals with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diverse learners in terms of teaching for all. |
EDU4029 |
교육학교육론 |
Teaching theory of Education as a Subject matter in Secondary level |
이 과목은 중등교과목으로서 교육학의 교과목으로서의 위상과 교육과정 기본 구성 원리를 탐색하기 위해 개설한 과목이다. |
The goal of this course is that the students study about the meaning and value of Education as a subject matter in secondary level and investigate how to organize curriculum in the schooling. |
EDU4030 |
교육학교재연구및지도법 |
Teaching Methods and Materials in Education as a Subject matter in Secondary level |
이 과목은 교육학을 가르치는 중등교사의 교재연구와 지도법에 관련된 내용을 이론적으로 탐구하고, 실제적인 차원에서 교육학 지도와 관련된 전문적인 기술을 습득하기 위해 개설한 과목이다. |
This course is intended to provide students with an investigating of the theory and practice how to select teaching methods and how to organize teaching materials in Education in secondary level. Especially, this course is to develop skills of teaching and to improve making of teaching materials. |
EDU4033 |
심리검사 |
Psychological Testing |
심리검사는 상담, 임상, 학교, 회사 장면 등 우리 생활 전반에서 널리 사용되는, 사람의 마음을 이해하는 도구(tool)이다. 본 강의는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며, 강의 전반부에서는 심리검사의 이론적 배경과 기본 개념에 대해 전반적으로 다루고, 강의 후반부에서는 여러 가지 심리검사의 구성과 내용에 대해 탐색한다. 본 강의는 상담 장면에서 개인 심리검사에 초점을 맞추므로, 다양한 심리검사들 중에서 상담 및 학교 장면에서 주요 사용되는 검사(MMPI-2, MBTI, 그림검사, Strong 직업흥미 검사 등)의 구성과 내용 및 해석에 대해 알아본다. 일부 심리검사를 직접 실습해보고 이를 해석하는 연습 또한 이루어질 것이다. |
A variety of psychological tests are being utilized as important tools to understand many aspects of human mind. This course will cover the basic principles of psychological testing and measurement of various psychological constructs. This course consists of two major parts. The first part introduces students basic concepts and “big pictures” of psychological testing, including definitions, ethical issues, concept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in psychological testing. After building basic knowledge of psychological testing, the second part deals with structures and contents of various subject tests. Primary focus will be given to some of the most representative, widely-used individual tests in counseling and school settings, such as MMPI-2, MBTI, HTP, and Strong Interest Inventory. |
EDU4035 |
교육평가 |
Educational Evaluation |
이 강좌는 교육의 전체적 전개과정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시험이나 검사, 그리고 평점, 더 나아가서는 다양한 자격 인정 등의 활동들은 어떻게 개념화되고, 어떤 방법들이 동원되는가를 이해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이 강좌에서는 그러한 활동들을 설명하는 이론은 어떤 것이 있으며, 그러한 이론들은 어떤 실천적 의의를 지니며, 더 나은 교육을 위해서는 어떤 점이 미비되었는가를 개괄적으로 검토한다. 주된 내용은 프로그램 평가의 유형, 학생평가의 방법, 심리검사이론 등이다. |
This course is designed to understand the way test or examination, grade, also recognition of various qualifications, which can be easily seen in the overall development process of education, are conceptualized and what kinds of methods are used. Therefore, this course generally examines theories which describe these activities, the practical meaning of these theories, and what aspects needs to be improved for better education. This course mainly deals with the types of program evaluation, methods of student assessment and a classical theory of psychological measurement. |
EDU4036 |
교육연구방법 |
Educational Research |
교육에 관한 여러 방법을 이해하고 논문작성에 필요한 실제적 기술의 습득과 문제해결을 위한 논리적 사고의 발전을 꾀함을 목적으로 하며, 문헌연구, 질문지법, 심리검사법, 관찰법, 실험법 등을 개괄적으로 다룬다. |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understand the various methods for education, to learn the practical skills and to develop the logical thinking for solving problems. This course deals with the literature research, questionnaire method, psychological test, observation and experiment in the general way. |
EDU4037 |
교육정책론 |
Educational Policy |
본 강좌는 의사결정의 복잡성과 선택의 상황성을 심리학, 경제학, 뇌신경학의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개괄하고, 조직수준의 정책결정과정의 정서적 측면과 상황적 성격을 체계적으로 이해함으로써 교육행정학의 실천가능성과 교육현장 적용가능성을 구체적으로 확인한다. |
This subject aims at examining the complex nature of decision-making process and the delicate situation relating to making a wise choice. It also identifies irrational aspects of policy making process in organizations based on a trans-disciplinary perspective embracing psychology, behavioral economics and neuroscience. |
EDU4038 |
한국현대교육문제사 |
History of the Problems of Contemporary Education in Korea |
대학입시, 학교서열화, 교육불평등 등 한국 현대교육의 주요 문제를 역사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해결책을 모색한다. 문제기반학습(PBL), 사례연구 등 현장 중심의 교수-학습 방법을 적극 활용하여 수강생들이 교사, 교육행정가, 학자 및 연구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제 교육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교육전문가로 성장하는 데 필요한 현장 중심 역량을 함양하는 데 중점을 둔다. |
Analyze major problems in Korean modern education, such as college entrance exams, school hierarchy and educational inequality,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and seek solutions. The emphasis is on fostering field-oriented competency needed to help students grow into education professionals who can creatively solve real education problems in various fields, including teachers, education administrators, scholars and researchers, by actively utilizing field-based teaching-learning methods such as problem-based learning (PBL) and case studies. |
EDU4039 |
교육현장의 실제와 지도 |
Practicum in Education and Training |
이 수업은 중등학교 및 교육 관련 기관의 현장을 이해하기 위해 학생이 여러 유형의 현장 경험을 하도록 돕고, 이를 슈퍼바이징함으로써 학습자가 현장의 상황을 심도있게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천적 경험이 이루어지도록 함을 목표로 한다. 또한 학습자가 인식한 현장을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질 높은 현장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This class includes field-based supervision and/or intership that provides students background knowledge of child and adolescent development principles as well as principles of effective teaching and training practices. |
EDU4040 |
인공지능시대와 포스트휴먼 교육론 |
Artificial Intelligence and Posthuman Education theory |
로봇공학, 보철공학기술, 신경과학, 유전공학 등의 급속한 발전은 인간 이해에 대한 새롭고 전면적인 수정을 요구하였고, ‘철학적 미래학’은 탈(脫) 인간 중심적, 포스트휴먼(posthuman) 등과 같은 개념을 제안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인공지능의 등장은 도구가 ‘뇌 속의 존재자'로 변신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인공지능이 인간의 학습을 보완하거나 대체하는 상황은 인간 존재에 대해 완전히 다르게 이해해야함을 의미한다. 포스트휴먼 개념은 ’생명 물질이 생명력 있고 자기 조직적이면서도 비(非)자연적 구조로 되어 있다‘라고 가정한다. 다시 말해서 뇌 바깥의 도구와 생명 물질로 이루어진 뇌 사이의 상보적인 관계를 가리킨다. 인공지능의 등장은 기존의 지식에 대한 관점에 커다란 도전이며, 단순히 보조적 기계장치와는 전혀 다른 존재자의 출현을 예고한다. 이러한 급격한 사회변화에 대한 교육적인 성찰이 요구된다. 본 강좌에서는 이러한 흐름에 대한 교육적 고민을 '포스트휴먼 교육론'이라고 칭하면서 교육철학적 고찰을 시도한다. |
Rapid developments in robotics, prosthetics, neuroscience, and genetics required new and full modifications to human understanding, and 'philosophical futurism' began to propose concepts such as de-human-centric, posthuman, etc. In particular, the emerge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shows that tools are transforming into 'beings in the brain'. The situation in which artificial intelligence supplements or replaces human learning means that human beings should be understood completely differently. The posthuman concept assumes that 'life materials are life-powerful, self-organized, but non-natural'. In other words, it refers to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the brain, which consists of tools outside the brain and life materials. The emerge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s a great challenge to the perspective of existing knowledge, and it predicts the emergence of a completely different entity from merely auxiliary mechanical devices. This seminar attempts to consider educational philosophy by calling educational concerns about this trend 'posthuman education theory'. |
EDU4041 |
긍정적행동지원 |
Positive Behavior Support |
긍정적 행동지원은 삶의 질을 증진하기 위한 접근으로 문제행동에 대한 전통적인 접근에서 벗어나 행동의 기능을 이해하고 예방하는 데 초점을 둔다. 장애아동을 포함한 통합교육 현장에서 모든 아동을 위한 접근으로 긍정적 행동지원은 기능평가를 통해 문제행동을 이해하고 증거 기반의 실제를 통해 아동의 기대행동을 촉진하며 문제행동을 예방하기 위한 학교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다층지원체계(MTSS)를 통해 실행된다. 이 과목에서는 긍정적 행동지원의 기초 원리와 이론적 모델을 이해하고, 다층지원체계(Multi-Tiered System of Supports: MTSS)에 따른 구체적 지원전략을 배운다. 또한 가정, 학교, 지역사회 간 협력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이를 촉진하기 위한 능력을 함양한다. |
Positive behavior support is an approach to improve quality of life and focuses on understanding and preventing problem behaviors based on the evidence-based practices. As an approach for all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n the field of inclusive education, PBS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school environment to promote anticipated behaviors and to prevent problem behaviors through functional assessments. This course explores foundations and practice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s as well as strategies and procedures of multi-tiered systems of support (MTSS) all students in an inclusive school. The importance of home, school, and community collaboration is also addressed in order to improve professional competences. |
EDU4042 |
빅데이터 시대의 교육통계분석 |
Educational Statistics in the Big Data Era |
이 강좌는 학교 뿐만 아니라 교육의 실천 및 연구에 필요한 다양한 통계적 분석에 요구되는 기본적 개념과 방법의 이해에 목적을 둔다.그리고 실제 자료를 분석해봄으로써 자료의 통계적 제시방법과 집단비교 등에 요구되는 기본적인 개념의 이해를 증진하고자 한다.또한 급속도로 축적되고 있는 빅데이터를 교육 및 연구 장면에서 어떻게 응용할 수 있는지를 개괄적으로 학습함으로써 미래 교육을 위한 역량을 키우도록 한다. |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understand the basic concepts and methods required for various statistical analyses, which are necessary for practice and research of education as well as school. By analyzing actual data, students are expected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basic statistical concepts necessary for the basic statistical presentation methods and group comparison. In addition, this course provides overviews and illustrations of how to apply big data analyses in the education and research settings. |
EDU4043 |
인간발달과 학습에 대한 융합적 이해 |
Interdisciplinary Understanding of Human Development and Learning |
이 수업의 목적은 인간행동의 변화와 발달을 설명하는 다양한 이론들을 고찰하는 것이다. 인간행동의 변화는 생물학적 성숙이나 혹은 환경과의 상호작용에서 오는 경험 그 어느 한 가지만으로는 설명될 수 없기 때문에 인간발달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학문영역 간의 융합적 접근이 필요하다.이 수업은 인간행동의 변화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다양한 발달이론(발달이론, 인지이론, 사회심리학, 뇌과학 등)과 방법론을 공부하는 것에 초점을 두지만,실제 양육·교육현장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혹은 발달을 보다 최적화하기 위해) 이들 이론을 적용하는 것에도 관심을 갖는다. |
The purpose of this class is to examine various theories that explain the change and development of human behavior. As changes in human behavior cannot be explained only by biological maturity or experience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A convergent and interdisciplinary approach is needed to understand the complex aspects of human development. This class focuses on studying various theories (developmental theory, cognitive theory, social psychology, brain science, etc.) and methodology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human development across a life span, but is also interested in applying these theories to solve problems that arise in the actual parenting and educational setting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