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육책무성 탐구(교육과학사, 2014, 공저)
한국교육행정학 연구 핸드북(학지사, 2012, 공저)
대표 논문
교육정치학: 이론화와 과학철학 및 연구방법론 쟁점 분석(2022)
지방교육자치를 위한 시민교육의 쟁점과 발전 과제(2021)
AI와 Big Data 쟁점 분석 및 교육정치학의 발전 과제(2021)
혁신의 정의와 발생구조 및 이론체계에 근거한 교육조직 혁신 발전방향 탐색(2021)
현대 교육철학의 이해(공저, 2024)
교육철학 및 교육사(공저, 교육과학사, 2024)
하버마스, 토론 배틀을 열다(저서, 2022)
대표 논문
A collective essay on philosophical reflections on modern education in korea(2024)
교육적 이상향으로서 인문주의에 나타난 ‘안과 밖’의 모순(2024)
교사의 존재와 의무의 비(非)대칭성에 대한 검토와 문제의 진단(2024)
교육학 연구 영역의 외연(外延) 확장에 대한 학문 이론적 비판(2023)
신나민교수
연락처
02-2260-3400
E-mail
naminshin@dgu.edu
교수연구실
학림관 J514호
전공 분야
교육공학
세부 연구분야
원격교육, 21세기 교수-학습방법, 사이버불링, OER
학사학위 과정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육학 학사
석사학위 과정
서울대학교 평생교육 전공 교육학 석사
박사학위 과정
Pennsylvania State Univ. 원격교육 전공 Ed.D
담당 과목
교육공학 / 원격교육론
대표 저서
이판사판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박영스토리, 2019)
열린교육혁신을 위한 공개교육자료 OER(박영스토리, 2019)
원격교육입문: 기술복제 시대 교육에 대한 이해(서현사, 2007)
대표 논문
동영상강의 중 딴짓과 몰입에 대한 세대 간 비교(2019)
카자흐스탄 빌림혁신학교(BIL)의 플립드러닝 도입 사례연구(2019)
인공지능기술과 인공지능교사에 대한 인식 분석: 초, 중, 고등학생의 관점에서(2017)
조선 전기의 유교 경서 구결과 그 교육사적 의의(2019)
설총의 석독 구결(釋讀口訣)과 한국 고대의 유학교육(2018)
읍지를 통해서 본 조선시대 평양의 학교와 그 운영(2017)
윤초희교수
연락처
02-2260-3427
E-mail
chyoon@dongguk.edu
교수연구실
학림관 J506호
전공 분야
교육심리학
세부 연구분야
인지발달, 학습과학, 창의성
학사학위 과정
연세대학교 교육학과 교육학 학사
석사학위 과정
Univ.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교육심리학 전공 Ed.M.
박사학위 과정
Univ. of Washington 교육심리학 전공 Ph.D
담당 과목
교육심리 / 인간발달과 학습에 대한 융합적 이해
대표 저서
정체성: 청소년과 위기(교육과학사, 2022, 역서)
학습컨설팅: 이론과 설계(박영스토리, 2018, 공저)
수퍼사이징 더 마인드(교육과학사, 2018, 역서)
대표 논문
포스트휴머니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의미와 발명교육의 방향(2023)
미래 아동청소년 발달 전망에 따른 학교지식의 방향성 탐색(2022)
대학생의 일상적 창의성과 창의적 가정환경의 관계(2022)
Vygotsky의 기능체계 관점에서 본 아동발달의 '복잡성' 이해(2021)
박현주교수
연락처
02-2260-3383
E-mail
hjpark@dongguk.edu
교수연구실
학림관 J403호
전공 분야
상담심리, 상담자 교육
세부 연구분야
완벽주의, 대처양식, 비교문화연구
학사학위 과정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심리학 학사
석사학위 과정
서울대학교 상담심리 전공 심리학 석사
박사학위 과정
Univ. of Missouri-Columbia 상담심리 전공 Ph.D
담당 과목
상담심리학 / 심리검사
대표 저서
심리상담과 치료의 이론과 실제(학지사, 2025, 역서)
상담의 기술: 다문화 시대의 상담역량 강화(센게이지 코리아, 2017, 역서)
상담연구방법론(센게이지 코리아, 2017, 역서)
대표 논문
대학생의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에 의해 조절된 자기비난의 매개효과(2024)
Measurement and implications of perfectionism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2019)
Physical appearance comparison, appearance self-schema, perfectionism, and body esteem among South Korean college students (2019)
Moderation effects of perfectionism and meaning in life on depression (2016)
장환영교수
연락처
02-2260-8613
E-mail
welcome@dongguk.edu
교수연구실
학림관 J516호
전공 분야
인적자원개발, 평생교육, 성과공학
세부 연구분야
가치중심 HRD, 성과향상, 교육서비스과학
학사학위 과정
연세대학교 영문학과 문학사
석사학위 과정
University of Washington Educational Leadership & Policy Studies 교육학 석사
박사학위 과정
Indiana University Instructional Systems Technology Ph.D
담당 과목
기업교육론 / 인적자원개발론 / 평생교육론 / 영성교육론
대표 저서
완벽한 코칭 핸드북-이론 및 실천편 (교육과학사, 2019, 역서)
경력창의성 (박영스토리, 2019, 공저)
관리기술의 개발 I, II, III (교육과학사, 2017, 역서)
대표 논문
성과공학을 적용한 수도권 K 대학교 직원역량강화 방안탐색(2017)
전문성 연구의 비판적 검토와 미래 연구 과제 탐색 (2016)
Human Performance Technology: 수행공학인가? 성과공학인가? (2014)
이효정교수
연락처
02-2260-8612
E-mail
hjlee05@dongguk.edu
교수연구실
학림관 J505호
전공 분야
특수교육
세부 연구분야
자폐성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통합교육, 긍정적 행동지원
학사학위 과정
숙명여자대학교 교육심리학과 B.A.
석사학위 과정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전공 M.A.
박사학위 과정
University of Kansas 특수교육전공 Ph.D
담당 과목
특수교육론 / 통합교육론 / 긍정적행동지원
대표 저서
비장애중심주의를 넘어: 장애학 기반 장애이해교육(피치마켓, 2023, 역서)
통합교육: 일반교사와 특수교사를 위한 안내서(학지사, 2018, 역서)
자폐성 장애학생 교육(학지사, 2018, 공저)
대표 논문
통합교육 현장 요구를 반영한 교원양성과정 탐색: 교원양성기관 교원과 현장 교사의 경험과 요구를 중심으로(2024)
자폐성장애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특수교육지원센터 평가 현황 및 요구(2022)
School-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in six special schools of South Korea: processes and outcomes across years(2019)
자폐성장애 여성의 경험 및 특성 관련 연구 동향(2019)
이상은부교수
연락처
02-2260-3388
E-mail
eun000@dongguk.edu
교수연구실
학림관 J512호
전공 분야
교육과정
세부 연구분야
교육과정철학, 교육과정정책, 후기구조주의 이론, 미래교육 담론, 학교교육 개혁
학사학위 과정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교육과 이학사
석사학위 과정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육학석사
박사학위 과정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육학박사
University College London, Institute of Education, Ph.D
담당 과목
교육과정 / 다문화사회와 시민교육
대표 저서
폴 스탠디시의 교육철학 읽기 (교육과학사, 2024, 역서)
대표 논문
Becoming a subject in learning: Student freedom, agency, and subjectivity (2024)
The OECD’s new discourse of curriculum reform: Student agency, competency, colonization, and translation (2024)
학생의 개별성과 교육과정의 공공성 간의 관계 재탐색: ‘학생 목소리’의 새로운 해석을 찾아서 (2024)
Otherwise than teaching by artificial intelligence (2023)